성상신경절 차단술이란

안녕하세요

 

지난 포스팅에서는 신경주사 중에서 경막외주사, 척추 내측분지 차단술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번에는 성상신경절 차단술(Stellate ganglion block, SGB)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성상신경절이란? (Stellate ganglion)

목 부위의 하부교감신경절(inferior cervical sympathetic ganglion)은 제 1 흉신경절(1st thoracic ganglion)과 융합하여 성상신경절을 이루게 됩니다. 성상신경절이 중요한 이유는 머리쪽으로 향하는 절전신경섬유들이 이곳을 경유하거나 연접을 이루게 되는데 성상신경절을 차단할 경우에 머리와 상지에서의 교감신경 작용이 억제되게 됩니다.

 

따라서 교감신경의 과 흥분에 의한 증상을 안정화 시킬 수 있습니다.

 

언제 성상신경절 차단술을 하게 되나요?

보통 아래와 같은 질병이 있을 때 시행하게 됩니다.

 

  1. 복합부위통증증후군(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CRPS)
  2. 레이노 증후군(Raynaud's syndrome)
  3. 메니에르 증후군(Meniere's syndrome)
  4. 암에 의한 신경통
  5. 군발성 두통이나 편두통
  6. 폐경 후 증후군, 안면홍조
  7. 대상포진, 대상포진 후 통증
  8. 돌발성 난청, 이명
  9. 알레르기 비염
 

주사 방법

우선 블라인드 주사방법은 환자가 누워있는 상태에서 윤상갑상연골절흔(cricothyroid notch)부근의 흉쇄유돌근의 내측면을 두 손가락으로 바깥쪽으로 젖히고 밑으로 누르면 두 손가락 밑에서 경동맥의 박동이 느껴지게 됩니다. 여기서 윤상연골과 손가락 사이로 주사바늘을 삽입하여 6번 경추 횡돌기의 경동맥결절(Chassaignac's tubercle)에 닿게 하고 골막에서 살짝 떼어 혈액이 흡인이 되지는 않는지 확인하고 국소마취제를 투약합니다.

 

최근에서는 투시검사장치나 초음파를 통해서 주사하는 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주사가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

성상신경절 차단술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면 몇가지 반응이 나타나게 됩니다. 우선 주사 후에 호너증후군(Horner's syndrome)이 나타날 수 있고 피부온도의 상승, 코막힘과 같은 비충혈, 안면에 땀이 안나는 안면 무한증, 상지 정맥의 울혈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은 정상적으로 나타나는 반응이기 때문에 부작용이라고 생각하지 말고 약이 잘 들어갔구나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주의점

되돌이 후두신경이나 횡격막 신경, 상완정맥총등에 주사약이 들어갈 수 있습니다. 또한 혈관내로 주사약이 들어가면서 의식이 쳐지거나 저혈압, 경련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보통은 안정을 취하고 시간이 지나면 회복이 되고 들어간 국소마취제의 효과가 감소하면서 호전이 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