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어증 평가 도구인 K-WAB 검사에 대해 안내해드리겠습니다.
지난 글에서는 실어증(Aphasia)이란 무엇인지에 대해서 소개해드렸습니다.
관련 글 포스팅
이번 포스팅에서는 실어증을 평가하는 도구 중 우리나라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검사법에 대해서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한국판 웨스턴 실어증 검사로 K-WAB(Paradise Korean version Western Aphasia Battery)라고 불립니다.
한국판 웨스턴 실어증 검사
측정영역
말하기, 이해하기, 읽기, 쓰기 등 여러 가지 언어영역에 대해서 평가를 시행하게 됩니다. 검사를 수행하면서 실행증이 있는지, 구성 및 시공간 능력 영역에 대해서도 평가가 진행됩니다.
구성
구어 언어는 스스로 말하기, 알아듣기, 따라 말하기, 이름 대기 등에 해당하며 문자 언어는 읽기와 쓰기가 해당합니다.
1. 스스로 말하기
- 현재 기분이 어떤지, 가족관계는 어떤지 등 질문합니다.
- 질문자가 그림을 보여주면서 그림 속 상황에 대한 설명을 하도록 합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서 환자가 말하는 내용이 전달이 잘 되는지, 유차성이 어떠한지에 대해서 평가를 시행합니다.
2. 알아듣기
- 예-아니오 검사: 질문에 대해서 구체적인 설명을 할 수 있지 않아도 알아듣고 예-아니오 정도의 의사표현으로 질문을 알아듣는지를 평가합니다. 하지만 보속증이 있어서 계속 예, 예를 그냥 하는 경우도 있어 내용을 바꿔서 재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청각적 낱말인지: 어떠한 물건이나 신체 부위 등을 가리키도록 합니다. 환자가 무시 증후군이나 신체인지가 떨어지는 경우에는 검사 결과에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 명령 이행: 문장으로 지시를 하여 명령 수행이 가능한지 알아봅니다
3. 따라 말하기
말 그대로 따라 말하도록 하고 문장의 길이를 길게 하거나 복잡하도록 하면서 평가를 진행합니다.
4. 이름 대기
- 물건 이름 대기: 20가지의 물건을 제시하면서 이름을 말하도록 합니다.
- 통제 단어 연상: "생각나는 동물 이름을 다 말해보세요"와 같은 방법으로 1분 내에 말하는 동물 이름 수를 평가합니다.
5. 읽기
- 문장 독해, 글 명령: 문장을 보여주고 이해하는지를 확인하거나 문장대로 행동을 하도록 합니다.
- 단어-실물 짝짓기, 단어-그림 짝짓기: 보여주는 단어와 실물 혹은 그림과 짝짓기를 시켜 읽어서 이해를 했는지를 평가합니다.
- 단어 식별, 단어+모음 검사를 시행합니다.
6. 쓰기
- 이름 쓰기, 주소 쓰기, 숫자 쓰기
- 그림을 보고 글로 묘사하여 쓰기
- 단어, 문장 받아쓰기
- 단어, 문장 베껴쓰기
7. 동작
동작 항목 평가를 통해서 봐서 실행증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얼굴동작, 상지 동작, 도구를 사용하는 동작 등을 지시합니다.
- 또한 따라 해 보도록 하는 모방 검사를 합니다
8. 구성, 시공간, 계산
- 그림을 그려서 보여주고 지운 후 그림을 그리도록 지시
- 토막 짜기
- 계산
K-WAB 점수 해석
점수에는 실어증 지수(AQ, Aphasic quotient), 언어 지수(LQ, Laguage quitient), 피질 지수(CQ, Cortical quotient)가 있습니다.
실어증 지수 (AQ)
AQ= 2 x (스스로 말하기(20점) + 알아듣기(10점) + 따라 말하기(10점) + 이름 대기(10점))으로 계산해서 총점은 100점입니다.
AQ 점수에 따라 실어증의 중증도를 나눌 수 있고 80~92점을 경도, 62~79점을 경도~중등도, 36~62점을 중등도~중증, 35점 이하를 중증 실어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언어 지수 (LQ)
LQ= 스스로 말하기(20점) + 알아듣기(20점) + 따라 말하기(10점) + 이름 대기(10점) + 읽기(20점) + 쓰기(20점)으로 총점 100점입니다.
여기서 주의점은 언어 지수에서는 알아듣기 항목을 20점 만점으로 계산한다는 점이 AQ와 다릅니다.
피질 지수 (CQ)
CQ= 스스로 말하기(20점) + 알아듣기(20점) + 따라 말하기(10점) + 이름 대기(10점) + 읽기(10점) + 쓰기(10점) + 동작(10점) + 구성, 공간, 계산(10점)
언어 지수와는 다르게 읽기와 쓰기는 각 10점 만점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의학 > 뇌 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asticity 경직, Rigidity 강직 이란, 차이는 무엇일까요 ? (0) | 2020.10.08 |
---|---|
치매, 인지기능저하 환자의 약물치료와 기전 (0) | 2020.09.30 |
[인지재활] 집행 기능이란 무엇일까요? Executive function (0) | 2020.09.23 |
외측 연수 증후군(Wallenberg syndrome) 내측 연수증후군(Dejerine's syndrome) (0) | 2020.09.18 |
[재활치료] 신경근육 전기자극치료란? NMES (0) | 2020.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