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희랑입니다.

 

지난번에는 근전도 검사를 통해 진단을 내리게 되는 정중신경 신경병증에 대해서 포스팅했었습니다.

이번에는 팔의 내측 부위를 담당하는 척골신경(ulnar nerve)에 생기는 신경병증에 대해서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척골신경은 상완신경총에서 나오는 경추 8번, 흉추 1번 신경근에서 기시 하게 됩니다.

 

위팔의 내측을 따라서 주행하고 아래팔의 내측면을 지나 손으로 향하게 됩니다.

 

그런데 아래팔 내측면의 감각변화는 보통은 척골신경병증에 의한 것이기보다는 경추의 신경근병증에 의한 것인 경우가 많습니다.

 

팔꿈치 부위에서 내측 상과(medial epicondyle)와 주두(olecranon)에 있는 고랑(groove)에서 위치하며 이곳은 손으로도 만져집니다.

 

이후에는 척측수근굴근(flexor carpi ulnaris)의 힘줄 사이로 들어가게 됩니다.

 

여기서 더 내려가서 내측 수부의 손바닥과 손등 부분을 지배하게 됩니다.

 

손목에서는 갈고리뼈(hamate bone)와 두상골(pisiform bone) 사이로 가용관(Guyon canal)으로 들아갑니다.

 

척골신경은 동맥과 같이 주행하게 되고 가용관 내에는 힘줄이 없어 이 부위에서 일어나는 손상은 과사용에 의한 것이기보다는 외부 압박에 의한 것을 더 시사하게 됩니다.

 

대부분의 척골 신경의 손상은 팔꿈치 부위와 손목 부위에서 일어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팔꿈치 부위 척골신경병증

팔꿈치 부위의 척골신경병증은 손목터널증후군 다음으로 흔한 신경병증입니다.

 

원인

위험인자에 대해서는 손목터널증후군과는 달리 명확히 밝혀지지는 않았습니다

 

팔꿈치를 굴곡하는 동작과 주먹 쥐는 동작을 반복해서 과도하게 하거나 척골 고랑(ulnar groove)에서 외부 압박이 일어나게 돼서 생길 수도 있습니다. 

 

그 외에도 고령, 남성, 흡연 등이 위험인자라는 보고도 있습니다

 

증상

보통은 손의 척골신경이 지배하는 부위에 감각이상과 저린 통증 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

 

손 전체에 저린통증이 있는 것보다는 아래팔 내측 부위에 저린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근력의 위약이 나타날 수 있으며 손을 쥐는 힘과 옷 입고 벗는 동작에서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망치로 압박이 예상되는 부위를 두드렸을 때 통증이 유발되는 티넬 징후를 체크해 볼 수 있고 보통 내측 상과 뒤쪽 부위 위쪽이나 척골신경이 척측수근굴근(flexor carpi ulnaris)의 두 머리 사이로 들어가는 부위에서 두드렸을 때 종종 나타납니다

 

골간근(interosseous muscle)의 근력저하가 나타날 수 있고 병변이 진행되면 제1 배 측 골간근(first dorsal interosseous musel)의 위축이 내재근 약화로 인한 갈퀴손(claw hand) 모양을 보일 수도 있습니다

 

갈퀴손
갈퀴손(claw hand)

진단

근전도 검사를 통해 진단과 중증도 정도를 알 수 있습니다

 

경추 8번, 흉추 1번 신경근병증이나 하간 상완신경총 병증(brachial plexopathy)은 팔꿈치 부분에서 척골신경의 지연이 미미하게 나타납니다

 

척골신경 신경병증에서는 감각 전도 검사에서 지연이 나타나며 심할 경우 운동신경 검사에서도 이상 소견이 보입니다.

 

제1 배 측 골간근(first dorsal interosseous muscle)이 침 근전도 검사에서 가장 흔하게 이상소견을 보이는 부분입니다.

 

약지 외전근(abductor minimi), 척측 수근 굴근(flexor carpi ulnaris)은 상대적으로 덜 침범합니다.

 

치료

다른 신경병증과 마찬가지로 우선적으로 환자의 생활습관 교정이 중요합니다

 

치료를 하더라도 반복적으로 이전처럼 생활 습관을 유지하게 되면 다시 재발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주먹을 꽉 쥐거나, 팔꿈치를 반복적으로 구부리는 동작을 하는 것을 피하고 팔꿈치 내측을 압박한 상태에서 작업(컴퓨터 작업 등)을 하는 경우에는 팔꿈치 내측 부분에 부드러운 쿠션을 두어 압박을 분산시키면 도움이 됩니다

 

경구용 비스테로이드 소염제가 통증 조절에 도움이 되며 초음파 유도하에 스테로이드 국소 주사 또한 많이 하는 치료법입니다.

 

3개월 내에 증상이 좋아지지 않거나 근전도 검사를 다시 했을 때 호전이 없거나 악화되는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보통 신경의 위치를 바꾸는 신경 전위 술(transposition)을 하거나 척측 수근 굴근의 두 머리에 해당하는 근막 절개술(fasiotomy)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