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희랑입니다.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전산화 신경인지기능 검사(CNT) 항목 중 하나인 Trail making test(선추적 검사)의 해석에 대해서 소개해드리겠습니다. CNT 평가하는 방법들과 어떤 항목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지난 글을 참조해주시면 됩니다.
관련 글 포스팅
[인지재활] 전산화 신경인지기능검사란? (CNT 평가항목)
안녕하세요 인지기능 검사 방법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그중에서 CNT(Computerized NeuroCognitive Function test)라고 해서 컴퓨터를 통해서 고위 인지기능까지 자세하게 검사하는 평가방법이 있
heerangdoc.tistory.com
CNT 해석(인지기능검사): 숫자폭검사(digit span), 시공간폭 검사(visual span)
안녕하세요 여러 뇌질환, 신경퇴행성 질환, 치매 환자들에 있어서 컴퓨터로 진행하게 되는 전산화 신경인지기능검사(CNT)에 대해서 지난 글에서 소개해드렸었습니다. 관련 글 포스팅 [의학/뇌 질
heerangdoc.tistory.com
연속수행검사 (Continuous performance test, CPT, CCPT)
지난 포스팅에서 전산화 인지기능평가 CNT 평가항목 중에서 Digit span, Auditory span 검사의 해석에 대해서 소개해드렸습니다. 관련 글 포스팅 [의학/뇌 질환] - CNT 해석(인지기능검사): 숫자폭검사(digi
heerangdoc.tistory.com
Stroop Color word interference test(Stroop 색채 단어 간섭 검사)
안녕하세요. 전산화 신경인지기능 검사 항목들에서 지난 글에 이어서 오늘은 Stroop Color word interference test(Stroop 색채 단어 간섭 검사)에 대해서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관련 글 포스팅 [의학/뇌 질환
heerangdoc.tistory.com
Trail making test 선추적 검사
인지기능 중에서 주로 주의력, 전두엽기능 검사를 하는 도구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검사입니다. 보통 2가지 세트의 검사를 시행하게 됩니다.
세트 A: 숫자 잇기

첫 번째 형태는 1부터 25까지의 원 안의 숫자들을 순서대로 찾아서 선을 잇는 검사 세트입니다.
세트 B: 숫자와 한글 번갈아서 잇기

두 번째 세트는 1->가->2->나->3 이런 식으로 번갈아가면서 숫자와 한글을 번갈아가면서 순서대로 잇는 세트입니다.

한글을 모르는 환자들의 경우에는 빨간색 1 -> 파란색 1 -> 빨간색 2 -> 파란색 2 이런 식으로 다른 색깔을 번갈아서 잇도록 하는 세트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Trail making test 해석
해석에 사용되는 지표는 검사를 완성하는데 걸리는 소요시간으로 평가합니다. 같은 연령과 비교하여 T score, percentile로 얼마나 떨어지는 지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세트B/세트A 비율로 신경심리학적 손상을 평가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모든 부분이 받아들여지는 채점 방식은 아니기 때문에 참고사항입니다.
- A/B 2~2.5 : 정상
- A/B > 3 : 신경심리학적 손상이 있는 것으로 평가
Trail making test는 주로 시각적 운동적 추적 기능에 대해 평가할 수 있고 복잡한 시각적 탐색 기능을 측정하게 됩니다.
세트 A의 경우는 시작적 운동적 탐색기능을 평가하게 되고 세트 B의 경우는 탐색 기능 외에도 읽기 능력, 작업 기억, 주의력, 동시에 두 가지 순서를 유지하도록 하는 능력 등을 평가하게 됩니다.
보통 전두엽 뇌손상 환자들에게서는 세트 B검사의 수행이 더욱 저조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관련 글 포스팅
인지재활이란 ? cognitive rehabilitation
안녕하세요 인지재활이라는 단어가 다소 생소하실 수도 있습니다. 이번에는 인지기능이 저하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인지 재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인지기능이란? 인지기능이라는 것
heerangdoc.tistory.com
[인지재활] 집중력, 주의력 치료 Attention
안녕하세요 지난번에는 인지재활치료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소개해드렸습니다. 관련글 포스팅 [의학/뇌 질환] - 인지재활이란 ? cognitive rehabilitation 이번 글에서는 인지기능 저하의 영역 중에서
heerangdoc.tistory.com
[인지재활] 기억력 저하에 대한 인지 치료란
기억력 장애는 뇌손상 후에 가장 흔한 문제입니다. 뇌의 손상 부위에 따라서 증상은 차이를 보이게 됩니다. 측두엽의 해마(hippocampus)에 이상이 생기면 지식이나 사실 자체에 대한 기억의 이상이
heerangdoc.tistory.com
[인지재활] 집행 기능이란 무엇일까요? Executive function
안녕하세요. 지난 포스팅에서는 인지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전산화인지평가(CNT)항목들과 인지 영역, 인지재활치료 등에 대해서 소개해드렸습니다. 관련 글 포스팅 [의학/뇌 질환] - [인지재활] 기
heerangdoc.tistory.com
'의학 > 뇌 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Card sorting test 카드 분류 검사란? 인지기능검사 (2) | 2020.11.15 |
---|---|
MMSE 점수란? 치매검사 간이 신경정신상태 검사 방법 (0) | 2020.11.14 |
Stroop Color word interference test(Stroop 색채 단어 간섭 검사) (0) | 2020.11.12 |
연속수행검사 (Continuous performance test, CPT, CCPT) (0) | 2020.11.07 |
CNT 해석(인지기능검사): 숫자폭검사(digit span), 시공간폭 검사(visual span) (0) | 2020.11.06 |